메를로랩

  • 산업
    에너지
  • 산업내 입지
  • 수익성
    나쁨
  • 현재 주가
    13,000
  • 주가 예상
    -
메를로랩은 메시 네트워크 원천기술을 바탕으로 스마트 조명으로 만드는 홈 IoT, 스마트빌딩을 구현할 수 있는 빌딩 IoT를 활용해 에너지를 관리할 수 있는 에너지관리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산업 현황 및 전망

시가총액 비교

  • 누리플렉스
    333.3억원
  • 그리드위즈
    1,408.2억원

투자 유치 상황

SWOT 분석

S
strength
미시적 강점
IoT(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조명 및 에너지 관리 솔루션을 전문으로 하는 메를로랩은 IoT 시스템에 기반한 자동 조명 제어 기술을 통해 빠르게 변화하는 에너지 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실례로 GS네트웍스 물류센터에서 62.5%의 에너지 절감률을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W
weakness
미시적 약점
메를로랩은 시장에서의 인지도와 입지가 아직 확고하지 않아 초기 투자 비용을 부담하는 고객사와의 신뢰 구축에 시간과 노력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역성장 중인 매출액과 지속되는 손실은 재무적으로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O
opportunity
거시적 기회
기본 전기요금 인상 및 ESG 경영에 대한 기업들의 관심이 증가하고 에너지 효율화 솔루션의 필요성이 커지면서, 메를로랩은 공공기관 및 민간 기업들을 대상으로 하는 시장에서 점차 입지가 커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T
threat
거시적 위협
에너지 관리 및 조명 시스템 분야에는 이미 많은 경쟁사가 있으며, 지속적인 기술 혁신과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시장 점유율이 위협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전력 시장의 규제 변화나 경제 상황의 악화 역시 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투자 매력도 평가

내부환경 요소
최하
1점
2점
보통
3점
4점
최상
5점
최근 3년 재무정보
최근 주가 흐름
벨류에이션
CEO 및 이사진 윤리성
매출액 대비 현재 시가총액 규모
같은 산업군 종목의 시가총액 비교 및 수익성비교
회사 홈페이지 관리상태 및 전화 연결 참여도
부채비율
ROE(자기자본이익률)
내부 통제요소 투자매력도 1.88
외부환경 요소
최하
1점
2점
보통
3점
4점
최상
5점
최근 거래량 흐름
최근 이슈 사항
IPO 진행상황
액면가 대비 현재 가격 수준
같은 산업군 주가흐름 상황
기업의 투명성
외부 통제요소 투자매력도 3.5
총 평점
2.53점 / G4

투자 매력도 비교

에너지 산업군 평균 투자매력도 기업 투자매력도
2.53점 2.53점

분기별 투자 매력도 및 주가 변화

구분 점수 점수 증감 주가 추가 증감 총 발행 주식수 시가총액
2025년 1Q -2.53 13,000 0 7,384,041 95,992,533,000
2025년 2Q 0.00 13,000 0 7,384,041 95,992,533,000
2025년 3Q 0.00 13,000 0 7,384,041 95,992,533,000
✳︎ 주가는 매력도작성일 기준 주당가격임.

투자 의견

  • 매도
  • 비중축소
  • 중립
  • 비중확대
  • 매수
장기적 관점
미래에는 IoT 기반의 서비스가 확대되고 환경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에너지 관리 솔루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됨에 따라 메를로랩의 성장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보입니다. 다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필요할 것입니다.
단기적 관점
다만, 현재로서는 실적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고 업종 역시 시장의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는 상황으로 1,000억 원의 시가총액을 인정받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판단합니다.
상기 평가점수 및 투자 의견은 마블랩에서 주관적으로 평가한 항목으로 실제 회사의 사정과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보 이용에 따른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이용자의 투자 결과에 대해 어떠한 법적, 경제적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메를로랩

투자 포인트 Ⅰ
메를로랩의 솔루션은 이미 여러 물류센터에서 60~70% 이상의 에너지 절감률을 실증한 바 있습니다. 이러한 높은 절감 효과는 전기료가 지속적으로 인상되는 현재의 경제 상황에서 기업들의 운영 비용 절감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로딩중